알쓸잡학
사입, 위탁판매, 해외 구매대행의 뜻과 차이점, 장단점 비교
삐유삘롱
2024. 10. 26. 23:19
부업으로 온라인 커머스에 상품을 판매하고자 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런데 알아야 할 기초지식이 많은데요. 기초 중의 기초인 용어와 개념부터 알고 시작하는 것이 첫걸음이라고 하겠습니다.
사입, 위탁판매, 해외 구매대행 및 알아두면 좋은 물류 용어
- 사입 : 공급업체와 직접 계약을 맺고 상품을 매입하는 것
- 위탁판매 : 공급업체의 판매를 대신해서 판매해 주는 것으로 공급업체로 부터 판매를 위탁받는 개념
- 해외 구매대행 : 위탁판매와 같은 개념으로 해외의 공급업체로 부터 판매를 위탁받는 개념
- 배대지(배송대행지) : 해외 구매대행의 경우 배송대행를 이용하게 되는데 구매한 물품을 일시적으로 보관하고, 구매자의 국내 주소로 배송해주는 업체
- 상품소싱 : 판매할 상품을 찾고 공급업체로 부터 재고를 확보하는 것
- CS(Customer Service) : 고객응대로 제품문의, 환불 등의 물건을 판매하는 과정에서 고객응대하는 업무 제반
- WMS(Warehouse Management System) : 창고 관리시스템
- OMS(Order Management System) : 주문 관리 시스템
- 3PL(Third Party Logistics) : 3자물류로 물건의 전부 혹은 일부를 물류 전문 업체에 아웃소싱하는 것
- 4PL, fulfillment : 상품 입고, 보관, 포장, 운송, CS까지 모두 처리해주는 서비스
- 아마존 FBA(fulfillment by amazon) : 아마존의 풀필먼트 서비스
- SKU(Stock Keeping Unit) : 스큐라고 하며 판매 제품군, 립스틱 단일상품, 립스틱+선크림 패키징 상품을 판매하고 있다면 2SKU를 운영하고 있는것
- 폐쇄몰 : 특정공간에서만 고객에게 가격을 제공하능 것
사입, 위탁판매, 해외 구매대행 차이점 및 장단점 정리
창고 및 재고 | 포장 및 배송 | 마진율 | CS 난이도 | 장.단점 정리 | |
사입 | 판매자가 직접 창고 운영 | 직접 포장, 배송 | 높음 | 물건을 직접 확인하고 배송하기 때문에 고객만족도가 높고 CS용이 | 공급업체와 우호적인 관계를 맺어 낮은 단가로 제품을 공급받는 다면 높은 마진율을 가져갈 수 있지만 매입비용이 들고 판매부진시 재고관리 및 캐시플로우 운영이 힘들기 때문에 전업 및 전문가가 아니면 위험 |
위탁판매 | 공급업체가 창고에서 직접 재고관리 | 공급업체가 포장, 배송(도매매, 또는 도매꾹 등 이용) | 낮음 | 상품확인이 어렵기 때문에 CS어려움 | 재고관리 부담이 없고 상품검수, 관리, 포장, 배송을 공급업체가 하므로 초보자가 하기 용이 |
해외 구매대행 | 공급업체가 창고에서 직접 재고관리 | 배대지 이용 | 낮음 | 상품확인이 어렵고 배송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CS어려움 | 재고관리 부담이 없고 상품검수, 관리, 포장, 배송을 공급업체가 하므로 초보자가 하기 용이 |
이상으로 온라인 판매를 위한 용어와 판매방법에 대한 뜻과 차이점을 간단히 알아 보았습니다. 위탁판매를 위한 플랫폼도 많고 많은 노력과 시간을 들여야만 성공을 이룰 수 있다고 하는데요. 자신만의 강점을 잘 살리고 시장을 잘 공부해서 어려운 시장에서 살아 남아야 하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