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쓸잡학

이스라엘과 예맨의 관계

by 삐유삘롱 2024. 11. 24.

국제정세 뉴스를 보다보면 이스라엘과 중동의 갈등에 대해서 많이 보셨을 텐데요. 해당 지역은 역사적으로 지정학적으로 많은 갈등 속에 피를 흘려 왔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 번 포스팅에서는 그 중에서도 이스라엘과 예맨의 관계에 대해서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스라엘과 예멘의 관계는 역사적, 정치적, 그리고 종교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얽힌 미묘하고 복잡한 관계입니다. 두 나라 간의 공식적인 외교 관계는 존재하지 않으며, 과거와 현재를 아우르는 다양한 이슈가 그 배경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

1. 역사적 배경

  • 유대인의 이주
    1948년 이스라엘 건국 이후, 예멘에 거주하던 유대인 공동체는 이스라엘로 대규모 이주를 감행했습니다. 이 과정은 "매직 카펫 작전(Operation Magic Carpet)"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으며, 약 49,000명의 예멘 유대인이 이스라엘로 공수되었습니다. 이들의 이주는 예멘 내 유대인 박해와 이스라엘 건국 이후의 이민 정책이 맞물린 결과였습니다.
  • 종교적 요소
    예멘은 이슬람교가 주류인 국가로, 유대교를 국교로 하는 이스라엘과 종교적 차이가 있습니다. 이는 양국 간의 갈등 요인이 되어 왔습니다.

이스라엘 예맨 지도(출처 : 구글맵)

2. 정치적 관계

  • 이스라엘-아랍 갈등
    예멘은 아랍권 국가로서 이스라엘과의 갈등에 있어 팔레스타인을 지지하는 입장을 유지해 왔습니다. 이는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과 연계된 아랍권의 집단적인 이스라엘 비난의 연장선입니다.
  • 외교 관계 부재
    예멘은 이스라엘의 국가로서의 정당성을 인정하지 않으며, 두 나라 간에는 공식적인 외교 채널이 없습니다.

3. 현대적 맥락

  • 예멘 내 유대 공동체의 축소
    오늘날 예멘 내 유대인 공동체는 거의 사라졌습니다. 예멘 내 지속적인 내전과 박해로 인해 유대인들은 대부분 이스라엘, 미국 등으로 이주했습니다.
  • 예멘 내전과 이스라엘
    예멘 내전(2014년~현재) 동안 이스라엘은 직접적으로 개입하지 않았으나, 이란과 후티 반군의 관계를 우려의 시선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란의 후티 반군 지원은 이스라엘의 안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로 간주됩니다.

4. 주요 이슈와 간접적 연관성

  • 이란과 후티 반군
    후티 반군은 예멘 내전에서 주요 세력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이란의 지원을 받고 있습니다. 이란은 이스라엘의 최대 안보 위협 중 하나로 간주되기 때문에, 이스라엘은 간접적으로 예멘 상황에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 이스라엘-아랍 관계 변화
    최근 몇 년간 "아브라함 협정"을 통해 이스라엘과 일부 아랍국 간의 관계 정상화가 이루어졌지만, 예멘은 이 과정에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5. 미래 전망
이스라엘과 예멘의 관계 개선 가능성은 현재로서는 낮아 보입니다. 예멘 내전의 지속, 후티 반군의 활동, 그리고 이란의 영향력 등 여러 요인이 관계 개선을 어렵게 만들고 있습니다. 그러나 중동 지역의 외교적 변화와 긴장 완화의 움직임이 지속된다면, 장기적으로 변화의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습니다.

반응형